1. 깃 허브(Git Hub)
- https://github.com
- git으로 버전 관리한 코드를 업로드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
- 단순히 저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들고 함께 코드를 공유 하고 온라인으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개발할 수 있게 해줌
2. Git 명령어
1) project 디렉토리 내 로컬 저장소를 생성
git init 디렉토리명
📍 숨김폴더가 보이지 않는다면?
보기 ➡️ 표시 ➡️ 숨겨진 항목 체크하기
2) git 버전 관리할 파일을 선택(전체를 묶어서 관리할 것인지 몇개의 파일을 빼고 관리할 것인지 결정 할 수 있음) - stage에 올림(staging)
git add index.html (index.html만 스테이징)
git add . (모든 파일을 스테이징)
3) 하나의 버전으로 만들기, 버전에 대한 설명을 자세하게 적어주어야 함
git commit -m "index.html을 commit"
✔ 만약 위와 같이 에러가 발생한 경우
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해결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 주소"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이름"
✔ 이메일을 잘못 입력한 경우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 주소"
✔ 확인하는 법
git config user.email
4) 로그 확인하기
git log
5) 선택된 여러 파일을 커밋
- 로컬 시스템에서 파일을 수정/생성/삭제하고 원격 저장소에 반영할 파일들을 선별하는 것(버전 만드는 것)
- 로컬 저장소에 변경 사항을 저장하는 데 사용
- 파일이 변경될 때 변경사항은 자동으로 저장되지 않음
- Git 에게 새 커밋을 생성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하도록 지시
git commit -m "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커밋"
3 files changed, 2 insertions(+)
6) 깃허브 가입/로그인 후 repository 만들기
Create repository 버튼 또는 New 버튼을 클릭하여 생성
🤔 README.md 파일이란? ⬇️⬇️⬇️
7) 로컬 저장소에서 github 저장소 주소를 설정들임
git remote add origin1 https://github.com/KoYesung/test1.git (이름과 위치 마음대로 설정 가능함!)
8) 생성한 커밋(버전들)들을 github로 전송(푸시)
-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와 커밋을 공유할 때 사용
git push -u origin1 master
9) 업로드 완료!
📍 Repository를 삭제하기
1) Settings에서 General 클릭
2)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Danger Zone
'Tip >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Hub] Repository에 업로드 제외 파일 설정하기! (0) | 2023.05.01 |
---|---|
[GitHub] GitHub Desktop란? & 설치하기! (0) | 2023.05.01 |
[GitHub] Git Repository Fork 와 Git Repository Clone 차이 - Repository 복사하기! (0) | 2023.05.01 |
[GitHub] README.md 파일이란? (0) | 2023.05.01 |
[Git] Git이란?, Git의 장점 & Git 다운로드 (0) | 2023.04.30 |